trace의 공통 속성(Attribute) - color 관련 속성
사용데이터 : https://2stndard.tistory.com/68
color, colors
color
는 스캐터 trace에 표현되는 점, 선, 문자의 내부 색을
설정하는 속성이다. 내부 색을 설정할 때는 먼저 색을 변수에 매핑할지, 특정
색상으로 설정할 지를 결정해야 한다. 이를 설정하는 매개변수가
color
이다. color
에 변수를 ~
를
사용하여 매핑하면 해당 변수의 값에 따라 색이 매핑되어 표현된다.
df_취업률_2000 |>
## X, Y축의 매핑과 color를 대계열로 매핑
plot_ly(x = ~졸업자수, y = ~취업자수, color = ~대계열) |>
layout(title = '졸업자 대비 취업자수', margin = margins)
반면 특정한 색으로 설정할 때는 color
에 특정 색 이름을
설정하면 모든 marker가 동일한 색으로 나타난다. 이 과정에서 하나 주의해야
할 것이 설정의 방법이다. 일반적인 변수 설정과 같이 색상명을 설정하면
다음과 같이 정확한 색상이 나타나지 않는다.
df_취업률_2000 |>
## plot_ly()에 color를 색 이름 설정
plot_ly(x = ~졸업자수, y = ~취업자수, color = 'darkblue') |>
layout(title = '졸업자 대비 취업자수', margin = margins)
plotly
에서 색의 사용은 기본적으로 매핑을 전제로
사용된다. 따라서 앞의 코드에서 color = 'black'
으로 설정하는
것은 색을 검정색으로 지정하는 것이 아니고 ‘black’이라는 이름으로 매핑된
색 배열을 불러온다는 의미이다. 하지만 미리 매핑되어 정의된 ’black’ 색
배열이 없기 때문에 plotly
의 디폴트 색 팔레트를 사용하여
색이 설정된다. 자신이 원하는 색을 직접 설정하기 위해서는 ’asis’를
의미하는 I()
를 사용하여 색을 설정하여야 한다.
df_취업률_2000 |>
## plot_ly()에 color를 I()사용하여 색 이름 설정
plot_ly(x = ~졸업자수, y = ~취업자수, color = I('darkblue')) |>
layout(title = '졸업자 대비 취업자수', margin = margins)
colors
는 color
에서 매핑된 변수에 따른 색의
스케일을 설정하는 속성이다. plotly
에서 색의 스케일을 설정할
때 다음의 세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한다.
첫 번째 방법은 RColorBrewer
패키지에서 제공하는 팔레트의
이름을 설정하는 방법이다. RColorBrewer
패키지는 R에서 색
ekdma팔레트를 제공하는 패키지 중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패키지로
ggplot2
에서도 많이 사용된다. 이 패키지에서 제공하는
팔레트의 이름을 colors
에 지정함으로써 해당 팔레트를 사용할
수 있다.
두 번째 방법은 사용할 색을 직접 지정하는 방법이다. 사용할 색의 이름을 가지는 문자열 벡터를 사용하여 직접 색을 지정한다.
세 번째는 colorRamp()
나
scales::colour_ramp()
와 같은 색 보간 함수를 사용하는
방법이다. colorRamp()
는 매개변수로 전달되는 색 벡터의 사이
색을 반환하는 함수를 만들어주는데 0부터 1까지의 값 범위내에 해당하는
색을 반환해준다.
다음은 RColorBrewer
패키지의 팔레트 이름을 사용한 색
설정 방법이다.
df_취업률_2000 |>
plot_ly(x = ~졸업자수, y = ~취업자수,
## color를 대계열로 매핑하고 colors를 'Accent' 팔레트로 설정
color = ~대계열, colors = 'Blues') |>
layout(title = '졸업자 대비 취업자수', margin = margins)
다음은 색상 이름을 벡터로 설정하여 사용한 색 설정 방법이다.
color_vector <- c('red', 'blue', 'green', 'yellow', 'purple', 'black', 'pink')
df_취업률_2000 |>
plot_ly(x = ~졸업자수, y = ~취업자수,
## color를 대계열로 매핑하고 colors를 색 이름 벡터로 설정
color = ~대계열, colors = color_vector) |>
layout(title = '졸업자 대비 취업자수', margin = margins)
다음은 colorRamp()
를 사용한 색 설정 방법이다.
df_취업률_2000 |>
plot_ly(x = ~졸업자수, y = ~취업자수,
## color를 대계열로 매핑하고 colors를 colorRamp()로 설정
color = ~대계열, colors = colorRamp(c('red', 'yellow', 'blue'))) |>
layout(title = '졸업자 대비 취업자수', margin = margins)
'Plotly in R - 그래프에 마우스를 올려봅시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 반 바이올린 플롯 in R (6) | 2022.04.26 |
---|---|
plotly의 데이터 값(라벨)의 표시 - easylabel (0) | 2022.04.24 |
plotly trace의 공통 속성(Attribute) - hovertext, hoverinfo, hovermode, hovertemplete (0) | 2022.04.18 |
plotly trace의 공통 속성(Attribute) - text, textposition, texttemplate, textfont (0) | 2022.04.17 |
plotly trace의 공통 속성(Attribute) - X, Y, Z좌표 매핑과 범례 이름 매핑 (0) | 2022.04.17 |
댓글